12월, 2016의 게시물 표시

자의적 타의적 도시탐방(비아트 vol.45)

이미지
photo by 홍석진 자의적 타의적 도시탐방 시작은 때론 아주 사사로운 일들이 중요한 사건에 결정적 요인이 되곤 한다 . 두 가지의 기억이 있다 . 하나 , 몇 해 전 부산으로 출장을 왔다가 자갈치 아주머니들이 가지런히 손질해놓은 생선들을 보았다 . 가판대에는 고등어와 조기만이 아닌 이름 모를 생선들이 줄 지워 있었다 . 이 모든 생선들을 계절별로 맛보려면 2 년 정도 부산에 살아야 할 것 같다는 엉뚱한 생각을 했더랬다 . 둘 , 어린 시절부터 누군가가 ‘ 너는 어디서 살고 싶어 ?’ 라고 물어오면 지체없이 ‘ 바닷가 ’ 라고 말했는데 그건 사진처럼 남아있는 하얗게 부서지는 바다에 관한 기억 때문이었다 . 아마도 가족여행이었으리라 . 누구나 거주이전의 자유를 갖는다 . 어디든 원하는 장소에서 살 수 있다는 것이다 . 그러나 빈한한 생활 안에서 그 자유를 누리는 호사는 좀처럼 오지 않는다 . 집을 2 년마다 갱신해야 하는 세입자에게 거주는 선택이라기보다는 타협이며 , 꽤 제한적 조건에서 소모적 조율이 동반되는 일이다 . 지난 10 년간 인구의 이동은 점차 감소해 왔다고 한다 . 지속적 경기 침체가 도미노처럼 주거 대란을 야기시켜 이동의 자유를 억압하는 족쇄로 작동한 것이다 . 그러나 앞서 말한 두 가지의 기억이 필자의 거주지를 ‘ 서울 ' 에서 ‘ 부산 ’ 으로 이동하는 계기가 되어주었다 . 게다가 부산에서 시작한 프로젝트가 거주지역을 리서치하는 것이었으니 , 시작은 사사로웠으나 우주적 기운이 자의적 타의적 도시탐방으로 이끌었음이 틀림없다 . 이번 글쓰기는 미술 이론에 기대지 않고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거주와 이주에 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 도시의 가속 현재는 과거로부터 흐른다 . 잠시 과거 거주지를 복기하여보니 지난 10 년간 ‘ 우리 동네 ’ 라 부른 곳이 두 곳이 있었다 . 하나는 망원동이고 , 다른 하나는 서촌이다 . 망원동은 지리적으로는 홍대 앞 ...

MADE IN SEOUL 2016 @Meymac - FRANCE

이미지
기획 의도 생산의 자리를 소비와 유통에 내어준 도시는 유랑 ( 流浪 ) 한다 . 도시와 세계의야만성은 도시적 삶의 생태계를 무시하고 지도를분할하며 장소와 공간을 점령한다 . 오래된 자본은 도시를 황폐화 시키고 도시의 외곽을 투기하다 , 새로운자본으로 도심에 돌아왔다 . 그렇지만 , 도시는 결코 쉽게 지울수없는 수많은 담론에 의해서구성되고 , 수많은장소와 공간의 교차점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살아있는 유기체다 . 도시는닫혀서 정체된 곳이 아니라 사회적 공간과 개인적 장소들 사이의 긴장된 관계들로구성되고 재구성 된다 . 사회적 공간과 개별의 사적인 장소는 반대항이 아니라상호구성적으로 작동한다 . 산업사회의 도시속에서 생산자의 , 소비와 유통의 도시는 여전히예술가 ( 작가 ) 들은불필요한 잉여의 장소와 시간 속으로 몰아내지만 , 작가들은 자신들의 방식으로도시를 살아낸다 . 이들은 개별과 전체 , 미시와 거시를 관계적으로 재구성 한다 . 생활사 , 미시사 , 지방사 , 지역사 , 개인사 같은 도시의 작고 추상적인 것들을발굴하고 극대화시킨다 . 이런 것들이 보편성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은 분명히잘못된 이분법적 사고라는 것을 이들은 작업으로역설한다 . 은 주제와 하위키워드를 포함한 3 개의 전시와 스크리닝 프로그램 , 아카이브로 구성된다 . 도시성 , 특히 ‘ 서울 ’ 의 구조와 증식 , 외형적 생성과 소멸에 관해 작업들을 먼저다루고 , 다음으로 도시민의 사유와 행동방식에 끊임 없이 관련하는 내재적 측면에대해 이야기하는 작업들을 살펴본다 . 그리고 나아가 능동적으로 도시를 재구성하는 대안적 공동체와 행동으로 미래를 재 상상하는 작업들을 소개 한다 . Section A 생성과 소멸의 이항대립 현대도시의 구조적 특징들 , 서울이라는 도시의 외형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 빠른 속도로 지워진 도시의 장소와 기억들 , 도시의 균질화 된 구조와 기호들 , 대량생산에 의한 물질성과 무한증식된 과잉적 측면을 통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