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DE IN SEOUL 2016 @Meymac - FRANCE

기획 의도 생산의 자리를 소비와 유통에 내어준 도시는 유랑 ( 流浪 ) 한다 . 도시와 세계의야만성은 도시적 삶의 생태계를 무시하고 지도를분할하며 장소와 공간을 점령한다 . 오래된 자본은 도시를 황폐화 시키고 도시의 외곽을 투기하다 , 새로운자본으로 도심에 돌아왔다 . 그렇지만 , 도시는 결코 쉽게 지울수없는 수많은 담론에 의해서구성되고 , 수많은장소와 공간의 교차점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살아있는 유기체다 . 도시는닫혀서 정체된 곳이 아니라 사회적 공간과 개인적 장소들 사이의 긴장된 관계들로구성되고 재구성 된다 . 사회적 공간과 개별의 사적인 장소는 반대항이 아니라상호구성적으로 작동한다 . 산업사회의 도시속에서 생산자의 , 소비와 유통의 도시는 여전히예술가 ( 작가 ) 들은불필요한 잉여의 장소와 시간 속으로 몰아내지만 , 작가들은 자신들의 방식으로도시를 살아낸다 . 이들은 개별과 전체 , 미시와 거시를 관계적으로 재구성 한다 . 생활사 , 미시사 , 지방사 , 지역사 , 개인사 같은 도시의 작고 추상적인 것들을발굴하고 극대화시킨다 . 이런 것들이 보편성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은 분명히잘못된 이분법적 사고라는 것을 이들은 작업으로역설한다 . 은 주제와 하위키워드를 포함한 3 개의 전시와 스크리닝 프로그램 , 아카이브로 구성된다 . 도시성 , 특히 ‘ 서울 ’ 의 구조와 증식 , 외형적 생성과 소멸에 관해 작업들을 먼저다루고 , 다음으로 도시민의 사유와 행동방식에 끊임 없이 관련하는 내재적 측면에대해 이야기하는 작업들을 살펴본다 . 그리고 나아가 능동적으로 도시를 재구성하는 대안적 공동체와 행동으로 미래를 재 상상하는 작업들을 소개 한다 . Section A 생성과 소멸의 이항대립 현대도시의 구조적 특징들 , 서울이라는 도시의 외형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 빠른 속도로 지워진 도시의 장소와 기억들 , 도시의 균질화 된 구조와 기호들 , 대량생산에 의한 물질성과 무한증식된 과잉적 측면을 통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