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고 관찰하는 산책길 《소요의 시간》 여름산책편, 수정산, 2020.09.04-09.06
걷고 관찰하는 산책길 《소요의 시간》 여름산책편, 수정산, 2020.09.04-09.06 글. 창파 시장, 골목, 여관, 적산가옥, 장인 공방, 달리는 트럭 그리고 숲 산책로. 이곳은 일상적인 공간이자, 그간 기획한 프로젝트가 실현되었던 장소이기도 하다. 이처럼 개성 넘치는 현장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하다 보면 무슨 일을 하는 건지 누군가 물어올 때가 있다. 그럼 동시에 여러 단어가 빠르게 펼쳐진다. 전시, 연구조사, 구술채록, 창작활동, 식물 리서치, 강연, 공연, 퍼포먼스… 특히 상대가 예술과 무관한 사람이라면 이 중 어느 답을 내놓아도 그의 얼굴에 ‘그게 뭔데(나와 상관없네)’라는 표정이 금새 스친다. 무어라 불리는 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하나로 정의되지 않는다는 것이 실은 핵심이다. 단답형으로 대답할 수 없다는 건 그만큼 여러 분야를 향해 열려 있다는 의미이고, 사회의 다양한 지점에 맞닿아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소요의 시간>은 분명 다양한 결을 지니고 있다. 사람들은 이 프로그램을 숲속에서의 힐링 또는 산책, 생태체험, 지역 공부, 야외 공연, 전시처럼 저마다 시선으로 이해하고 있다. 모두 맞는 말이다. 한 문장으로 표현해보면 ‘지역, 자연, 예술이 교차하는 융복합 산책’ 좀 더 친근하게는 ‘동네 뒷산에서 숲해설과 지역이야기를 들으며 예술에 참여하기’ 정도이지 않을까. 수정산, 초량천을 따라 흐르는 이야기 왜 수정산일까? 수정산은 수정동 산복도로에 인접한 생태 구역으로, 수정(水晶)이라는 이름처럼 물이 맑고 마르지 않는 지역이다. 동쪽으로는 초량천, 서쪽에는 부산천이 자리하며 계곡을 따라 곰솔, 편백나무, 벚나무, 단풍나무 등 다양한 식물군락이 우거진 숲이기도 하다. 물길은 수정동으로 이어져 다양한 물길을 만들었고, 그 주변으로 사람들이 집을 짓고 모여 살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는 물길은 복개되어 현재의 골목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그 길 밑에는 여전히 수정산으로부터 물이 흐른다. 어느 날 물의 발원지를 찾아 산을 올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