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골목의기억도시의상상인 게시물 표시

초량1925, 부산의 사라지는 것과 현재를 잇고 미래를 상상하다

이미지
100년 된 골목이 사라졌다. 골목 초입을 비추던 가로등, 철마다 다른 꽃을 선사하던 담장, 낯선 이를 향해 짖던 개, 개조심이라 써 붙여진 대문, 수요일마다 골목을 차지하던 분홍색 어르신 목욕차, 여관 입구부터 골목까지 쓸던 세심한 주인장의 비질, 낮게 들리던 장기 투숙객의 라디오 소리, 점심때면 코를 찌르던 추어탕집의 매콤한 주꾸미 양념 냄새. 초량동 고관로13번길 골목은 2016년 8월, 초량1-3구역 재개발 공사로 사라졌다. 부산의 초량동과 수정동에는 백 살 넘은 골목길과 물길이 혈관처럼 도시를 지난다. 골목은 곧게 뻗은 대로보다는 물살이 굽이치는 모양대로 생겼거나 평지가 미약한 지형 탓에 경사면에 세워진 주거지를 따라 좁게 꺾인다. 이곳에는 고지대로 오르는 계단 길이 참 많다. 100칸 정도야 쉽게 넘기는 계단 길을 오르면 그 끝은 어느 길이라도 산복도로다. 산복도로는 까꼬막에 집터를 잡은 이를 위해 산 중턱을 가로질러 버스가 다니도록 만든 도로이며 다르게는 ‘망양로(望洋路)’라 불린다. 바다를 바라본다는 뜻처럼 그곳에 서면 꼭 맞는 풍경이 눈앞에 펼쳐진다. 능선 따라 겹겹이 줄지은 집들과 컨테이너가 쌓인 부두, 통통배부터 묘박지의 대형 화물선까지 이를 품은 너른 바다가 있다. 밤이면 이곳은 마치 별빛이 내려앉은 듯 또 다른 얼굴을 보여준다. 1964년 개통한 산복도로는 동구 범천로에서 서구까지 약 10km 길이로 연결되어 있다.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1972년부터 산복도로 주변에 짓는 건물의 고도를 제한하였다. 그렇게 부산만의 대표적인 전경을 보여주는 전망 포인트를 얻었다. 하지만 요사이 고도제한을 해제하라는 목소리가 드높다. 원도심 구의회 의장단은 고도 규제가 주민의 재산권을 침해해왔다고 40년 이상 참아 온 불만을 담아 고도제한 해지를 건의했다. 그도 그럴 것이 고도제한은 산복도로에만 해당하고 북항 재개발로 지어질 최대 106층의 빌딩에는 그 영향력이 다다르지 않고 있으니 말이다. 2023년이 되면 동구, 중구를 잇는 초고층 빌딩벽이...

자의적 타의적 도시탐방(비아트 vol.45)

이미지
photo by 홍석진 자의적 타의적 도시탐방 시작은 때론 아주 사사로운 일들이 중요한 사건에 결정적 요인이 되곤 한다 . 두 가지의 기억이 있다 . 하나 , 몇 해 전 부산으로 출장을 왔다가 자갈치 아주머니들이 가지런히 손질해놓은 생선들을 보았다 . 가판대에는 고등어와 조기만이 아닌 이름 모를 생선들이 줄 지워 있었다 . 이 모든 생선들을 계절별로 맛보려면 2 년 정도 부산에 살아야 할 것 같다는 엉뚱한 생각을 했더랬다 . 둘 , 어린 시절부터 누군가가 ‘ 너는 어디서 살고 싶어 ?’ 라고 물어오면 지체없이 ‘ 바닷가 ’ 라고 말했는데 그건 사진처럼 남아있는 하얗게 부서지는 바다에 관한 기억 때문이었다 . 아마도 가족여행이었으리라 . 누구나 거주이전의 자유를 갖는다 . 어디든 원하는 장소에서 살 수 있다는 것이다 . 그러나 빈한한 생활 안에서 그 자유를 누리는 호사는 좀처럼 오지 않는다 . 집을 2 년마다 갱신해야 하는 세입자에게 거주는 선택이라기보다는 타협이며 , 꽤 제한적 조건에서 소모적 조율이 동반되는 일이다 . 지난 10 년간 인구의 이동은 점차 감소해 왔다고 한다 . 지속적 경기 침체가 도미노처럼 주거 대란을 야기시켜 이동의 자유를 억압하는 족쇄로 작동한 것이다 . 그러나 앞서 말한 두 가지의 기억이 필자의 거주지를 ‘ 서울 ' 에서 ‘ 부산 ’ 으로 이동하는 계기가 되어주었다 . 게다가 부산에서 시작한 프로젝트가 거주지역을 리서치하는 것이었으니 , 시작은 사사로웠으나 우주적 기운이 자의적 타의적 도시탐방으로 이끌었음이 틀림없다 . 이번 글쓰기는 미술 이론에 기대지 않고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거주와 이주에 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 도시의 가속 현재는 과거로부터 흐른다 . 잠시 과거 거주지를 복기하여보니 지난 10 년간 ‘ 우리 동네 ’ 라 부른 곳이 두 곳이 있었다 . 하나는 망원동이고 , 다른 하나는 서촌이다 . 망원동은 지리적으로는 홍대 앞 ...

골목의 기억 도시의 상상 _ 투어 161029

이미지
일정 : 2016. 10. 29( 토 ) 오후 2 시 - 6 시 투어 루트 : 부산천 - 100 년길 - 100 년 물길 - 엔젤스트럼펫 - 축대길 - 두개의 바위 - 신신이발원 - 나무집 - 수직농장 - 감나무집 - 소리계곡 - 수정동 공동수도 - 다래다래 존 – 수정공원로 - 7080 버내큘라 주택군 ( 수석대문길 ) - 계단쌀집 - 독수리집 - 이끼계곡 - 텃밭 계단 - 낙원주택 - 팝업 말란도르 - 국일주택 소리극장 - 기억의 줄기 퍼포먼스 - 정구식 아코디언 연주 감상 - 수정아파트 - 수정배수지 - 재개발 도시 – 훔쳐진 시간 표본 감상 및 마무리 토크 < 초량 , 소리 家 머무는 공명공간 Ⅱ – 골목의 기억 도시의 상상 ‘ 수정동 ’> 의 리서치는 7 가지의 주제 - 물길 , 옛길 , 도시건축 , 미시사 , 소리장소 , 아트웍 , 재개발 - 로 분류할 수 있다 . 10 차에 걸친 현장 조사에서 수정동의 장소 중 위 주제와 관련한 일부 주요 공간들을 관객과 함께 걸어보는 공개투어를 마련하였으며 대표 장소를 30 여 곳 선별하여 루트를 만들었다 . 대부분의 장소들은 주민이 생활하는 공간을 지나가야 하는 이유로 참가 인원수를 30 명으로 제한하여 모집하였으나 온라인으로 신청한 34 명과 투어 당일에 현장으로 찾아 온 6 명이 추가되어 당초 계획보다 많은 인원이 참여하였다 . 10 월 29 일 ( 토 ) 오후 2 시 , 부산진세무서의 ‘ 만남의 광장 ’ 에서 시작한 투어는 1 차팀 (20 명 ) 과 2 차팀 (20 명 ) 으로 나누어 3 시간 30 분 가량 함께 걸어 수정동을 돌아보았다 . # 물길 : 부산천 , 100 년 물길 , 천사의 나팔 , 축대길 , 두 개의 바위 , 신신이발소 , 나무집 , 감나무집 , 소리계곡 수정동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