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통의동보안여관인 게시물 표시

MADE IN SEOUL 2016 @Meymac - FRANCE

이미지
기획 의도 생산의 자리를 소비와 유통에 내어준 도시는 유랑 ( 流浪 ) 한다 . 도시와 세계의야만성은 도시적 삶의 생태계를 무시하고 지도를분할하며 장소와 공간을 점령한다 . 오래된 자본은 도시를 황폐화 시키고 도시의 외곽을 투기하다 , 새로운자본으로 도심에 돌아왔다 . 그렇지만 , 도시는 결코 쉽게 지울수없는 수많은 담론에 의해서구성되고 , 수많은장소와 공간의 교차점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살아있는 유기체다 . 도시는닫혀서 정체된 곳이 아니라 사회적 공간과 개인적 장소들 사이의 긴장된 관계들로구성되고 재구성 된다 . 사회적 공간과 개별의 사적인 장소는 반대항이 아니라상호구성적으로 작동한다 . 산업사회의 도시속에서 생산자의 , 소비와 유통의 도시는 여전히예술가 ( 작가 ) 들은불필요한 잉여의 장소와 시간 속으로 몰아내지만 , 작가들은 자신들의 방식으로도시를 살아낸다 . 이들은 개별과 전체 , 미시와 거시를 관계적으로 재구성 한다 . 생활사 , 미시사 , 지방사 , 지역사 , 개인사 같은 도시의 작고 추상적인 것들을발굴하고 극대화시킨다 . 이런 것들이 보편성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은 분명히잘못된 이분법적 사고라는 것을 이들은 작업으로역설한다 . 은 주제와 하위키워드를 포함한 3 개의 전시와 스크리닝 프로그램 , 아카이브로 구성된다 . 도시성 , 특히 ‘ 서울 ’ 의 구조와 증식 , 외형적 생성과 소멸에 관해 작업들을 먼저다루고 , 다음으로 도시민의 사유와 행동방식에 끊임 없이 관련하는 내재적 측면에대해 이야기하는 작업들을 살펴본다 . 그리고 나아가 능동적으로 도시를 재구성하는 대안적 공동체와 행동으로 미래를 재 상상하는 작업들을 소개 한다 . Section A 생성과 소멸의 이항대립 현대도시의 구조적 특징들 , 서울이라는 도시의 외형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 빠른 속도로 지워진 도시의 장소와 기억들 , 도시의 균질화 된 구조와 기호들 , 대량생산에 의한 물질성과 무한증식된 과잉적 측면을 통해 ...

[TBS] 예술가들의 사랑방 "보안여관"

이미지
겸재 정선과 추사 김정희, 천재시인 이상, 그리고 문학청년들의 시인부락까지. 오랫동안 수많은 예술가들이 머물고 떠나며 문화촌의 명맥을 이어온 서촌 통의동 일대. 그 통의동 길, 경복궁 영추문과 마주한 거리에 흑갈색 2층의 보안여관이 있습니다. 영업이 종료된 2004년까지 70년 넘게, 오가는 나그네들의 보금자리였죠. 새하얀 간판에 파란 고딕체의 ‘보안여관’ 이름은 그대로지만 이제 여관은 뜨내기손님대신 이른바 문화투숙객을 받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바뀌었습니다. 좁은 복도와 다닥다닥 붙은 쪽방들, 삐걱거리는 나무계단. 지금은 쇠락했지만 80년 전 이곳 어디에선가 학생 서정주는 문학의 꿈을 다졌겠죠. 그간 이곳에서 열린 전시만도 90여 회. 시인들의 흔적을 이어 이제 여관은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수 십년 세월이 빚어낸 그대로의 작품. 옛 보안여관에선 그렇게 켜켜이 쌓인 옛 이야기가 오늘을 만나, 독특한 아름다움을 빚어내고 있습니다.

중성적 시대

이미지
  참여 작가 :  로와정,   염중호 ,  최대진   기획  :  이지민   전시 장소 :  통의동 보안여관   전시 기간 :  11 월  18 일 ( 수 ) – 12 월 16 일 ( 수 )   관람 시간 : 12:00 - 18:00   주최 :  통의동 보안여관   후원 :  서울문화재단 ,  프랑스 문화원   문의 :  이지민  t. 010-8514-1165 [출처]   중성적 시대(Neutral Era)_11.18 –12.16 (통의동 보안여관 1942)   | 작성자   metalogue 통의동 보안여관은  2015 년  11 월  18 일부터  12 월  16 일까지 로와정 ,  염중호 ,  최대진  3 인전 《중성적시대 (Neutral Era) 》를 개최한다 .  《중성적 시대》전은  30, 40, 50 대를 지내는 각각의 예술가들이시간과 시대에 대한 각자의 사유 과정을 펼치는 전시형 프로젝트다 .  본 프로젝트에서는 한국과프랑스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  3 인의 사진 ,  설치 ,  영상 등 최근 작업  18 여점을 집중 선보일예정이다 . 23 시  59 분에서  00 시  01 분이 되기까지  2 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변화하는 것들 ,  그리고 세월을‘년’이라는 작위적인 단위로 쪼개어 살아가고 기념하는 현대인들의 삶에 주목하면서 발족된 본프로젝트는 세 팀의 예술가가 시간과 세대에서 감각하는 지각과 인식을 작업으로 구현한다 . 전시 제목인...

오영은 Oh Yeong Eun _ 그림자가 드리운 순간 Foreshadowing _ 2015. 11. 6 ~ 11. 26 [출처] 오영은 Oh Yeong Eun _ 그림자가 드리운 순간 Foreshadowing _ 2015. 11. 6 ~ 11. 26

이미지

메이드 인 서울 @서울

이미지
<MADE IN SEOUL 2016 >   생산의 자리를 소비와 유통에 내어준 도시는 유랑 ( 流浪 ) 한다 . 도시와 세계의 야만성은 도시적 삶의 생태계를 무시하고 지도를 분할하며 장소와 공간을 점령 한다 . 오래된 자본은 도시를 황폐화 시키고 도시의 외곽을 투기하다 , 새로운 자본으로 도심에 돌아왔다 . 그렇지만 , 도시는 결코 쉽게 지울수없는 수많은 담론에 의해서 구성되고 , 수많은 장소와 공간의 교차점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살아있는 유기체다 . 도시는 닫혀서 정체된 곳이 아니라 사회적 공간과 개인적 장소들 사이의 긴장된 관계들로 구성되고 재구성 된다 . 사회적 공간과 개별의 사적인 장소는 반대항이 아니라 상호구성적으로 작동한다 . 산업사회의 도시속에서 생산자의 , 소비와 유통의 도시는 여전히 예술가 ( 작가 ) 들은 불필요한 잉여의 장소와 시간 속으로 몰아내지만 , 작가들은 자신들의 방식으로 도시를 살아낸다 . 이들은 개별과 전체 , 미시와 거시를 관계적으로 재구성 한다 . 생활사 , 미시사 , 지방사 , 지역사 , 개인사 같은 도시의 작고 추상적인 것들을 발굴하고 극대화 시킨다 . 이런 것들이 보편성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은 분명히 잘못된 이분법적 사고라는 것을 이들은 작업으로 역설한다 . 《 MADE IN SEOUL 메이드 인 서울》은 서울이라는 도시의 막강한 수직적 변화의 흐름 안에서도 수평적이고 사적 네러티브와 그 현재적 이야기들을 풀어놓는 첫번째 프로젝트이다 . 참여작가 홍순명 , 박찬국 , 종범 × 종언 ( 김종범 , 최종언 ), 여다함은 다채로운 자신들의 삶의 생산 플랫폼으로써 ‘ 서울 ’ 에 대한 신작들을 이번 전시에 선보인다 . <MADE IN SEOUL 2016 > City where had devolved the position of production to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is wandering. The brutality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