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실험실씨인 게시물 표시

걷고 관찰하는 산책길 《소요의 시간》 여름산책편, 수정산, 2020.09.04-09.06

이미지
걷고 관찰하는 산책길 《소요의 시간》 여름산책편, 수정산, 2020.09.04-09.06 글. 창파 시장, 골목, 여관, 적산가옥, 장인 공방, 달리는 트럭 그리고 숲 산책로. 이곳은 일상적인 공간이자, 그간 기획한 프로젝트가 실현되었던 장소이기도 하다. 이처럼 개성 넘치는 현장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하다 보면 무슨 일을 하는 건지 누군가 물어올 때가 있다. 그럼 동시에 여러 단어가 빠르게 펼쳐진다. 전시, 연구조사, 구술채록, 창작활동, 식물 리서치, 강연, 공연, 퍼포먼스… 특히 상대가 예술과 무관한 사람이라면 이 중 어느 답을 내놓아도 그의 얼굴에 ‘그게 뭔데(나와 상관없네)’라는 표정이 금새 스친다. 무어라 불리는 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하나로 정의되지 않는다는 것이 실은 핵심이다. 단답형으로 대답할 수 없다는 건 그만큼 여러 분야를 향해 열려 있다는 의미이고, 사회의 다양한 지점에 맞닿아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소요의 시간>은 분명 다양한 결을 지니고 있다. 사람들은 이 프로그램을 숲속에서의 힐링 또는 산책, 생태체험, 지역 공부, 야외 공연, 전시처럼 저마다 시선으로 이해하고 있다. 모두 맞는 말이다. 한 문장으로 표현해보면 ‘지역, 자연, 예술이 교차하는 융복합 산책’ 좀 더 친근하게는 ‘동네 뒷산에서 숲해설과 지역이야기를 들으며 예술에 참여하기’ 정도이지 않을까. 수정산, 초량천을 따라 흐르는 이야기 왜 수정산일까? 수정산은 수정동 산복도로에 인접한 생태 구역으로, 수정(水晶)이라는 이름처럼 물이 맑고 마르지 않는 지역이다. 동쪽으로는 초량천, 서쪽에는 부산천이 자리하며 계곡을 따라 곰솔, 편백나무, 벚나무, 단풍나무 등 다양한 식물군락이 우거진 숲이기도 하다. 물길은 수정동으로 이어져 다양한 물길을 만들었고, 그 주변으로 사람들이 집을 짓고 모여 살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는 물길은 복개되어 현재의 골목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그 길 밑에는 여전히 수정산으로부터 물이 흐른다. 어느 날 물의 발원지를 찾아 산을 올랐고,...

실험실 씨, 《프랙탈》, 부산 영도구 봉산마을, 2019.6.15.-6.16

이미지
 

중간계로 사유하는 ‘축대’ 그리고 ‘양치식물’에 대하여

중간계로 사유하는 ‘축대’  그리고 ‘양치식물’에 대하여 글. 실험실 씨(박미라, 창파) 그렇다, 섬의 얼굴, 소리, 냄새를 이루는 풀과 동물, 산의 지층, 먼지 낀 황토색에서 보랏빛이 도는 갈색에 이르는 갖가지 종류의 흙, 넓은 주석 층, 이 모든 것들을 그냥 보아 넘길 것이 아니다. 무엇보다 그 이름들을 알아야 한다. 사방의 땅에는 그곳에서만 적용되는 독특한 법칙에 따라 동식물이 공생하고 있지 않은가? 또한 모든 장소의 이름은 식물의 세계(Flora)와 동물의 세계(Fauna)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조우하게 되는 암호가 아닐까? _ 발터 벤야민 ‘햇빛 속에서’ <일방통행로>  우리는 종종 자연의 존재를 잊곤 한다. 정확히는 도시 공간에서 생존하는 작은 식물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사람이 알고 있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자연은 우리의 도시를 공유하고 있으며 도시에 공존한다. 이번 식생리서치는 봉산마을이라는 도시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식물 개체와 종을 파악하는 조사로서 학문적 깊이보다는 기본적인 생태 지식 정보를 토대로 식생 [1] 의 동정 [2] 을 살피었다. 우선적으로 마을에 자생하는 식물을 관찰하고 그들의 점유 공간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를 관찰자의 주관적인 관점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o 공간 요소 대상 지역은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위치한 봉산마을이다. 조사 기간은 2019년 1월 28일부터 2월 26일까지 비정기적으로 실시하였다. 봉산마을은 봉래언덕길부터 사택길, 외나무길, 나팔꽃길, 산유화길, 동백꽃길, 찬새미길을 포함한다. 지리적으로는 부산항대교를 사이에 두고 북항 재개발 지역, 동구 초량동, 중구 영주동, 남구 감만동 등을 마주하고 있다. 마을의 아래 지역인 평지에는 1937년도에 건립한 한진중공업(주) 영도조선소가 위치하며,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수리조선소로 이 마을의 발전에 미친 상호적 관계를 짐작해볼 수 있다(도판 1, 2). 마을의 지형은 대부분이 경사면으로 이뤄져 있다. 가로로는 골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