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으로 띄우는 종이새 '연'
겨울철 파란 하늘에 흰 연은 그 풍경만으로도 정겨운 어린 시절의 상징이다 . 봄의 불청객이던 황사가 사시사철 찾아오면서 청명한 겨울 하늘은 손꼽을 만큼 줄어들고 , 추위를 잊고 연을 날리는 아이들의 행렬도 사라진 지 오래다 . 연의 실종은 잿빛 하늘 탓만은 아닐 것이다 . 내 어린 날 ! 어슬한 하늘에 뜬 연같이 바람에 깜박이는 연실같이 내 어린날 ! 아슴풀 하다 . 하늘은 파 랗고 끝없고 팽팽한 연실은 조매롭고 오 ! 흰 연 그 새에 높이 아실아실 떠놀다 내 어린날 ! 서정시인 김영랑의 시 ‘ 연 ' 은 아실아실 연자락에 어릴 적 시인의 추억을 담고 있다 . 연날리기는 겨울철 동네마다 너른 곳의 언덕에 어김없이 등장하는 겨울 놀이였다 . 코끝까지 얼어버릴 듯한 추위 속에서 날리는 연이 제맛인 이유는 겨울에 우리나라로 북서풍 바람이 불어오기 때문이다 . 농사를 주업으로 하던 시절에는 농한기가 시작되면 아이도 어른도 삼삼오오 모여 연을 날렸다 . 연날리기는 정월 대보름까지만 하고 그 후 연을 날리는 사람은 ‘ 고리백정 ’ 이라 꾸지람을 들었다 . 정월 대보름날이 되면 얼레의 실을 모두 풀어 연을 멀리 날려 보낸다 . 액연 ( 厄鳶 ) 이라 하는데 연에 ‘ 송액영복 ( 送厄迎福 )’ 또는 소원을 적은 글귀와 이름 , 생년월일을 쓰고 날린다 . 자신과 가족에게 닥칠 나쁜 일들을 연에 실어 보내거나 달집에 태워 버리는 풍습이다 . 우리는 연을 새에 비유하여 날고 싶은 소망을 담았다 . 하늘로 연이 솟아오르면 얼레를 쥔 사람이나 연을 구경하는 사람이나 모두 연에 마음을 싣게 된다 . 연을 뜻하는 한자어 솔개연 ( 鳶 ) 은 새 ( 鳥 ) 에 줄을 맨다는 익 ( 弋 ) 을 붙여 만들었다 . 손으로 만들어 띄우는 종이새인 것이다 . 연의 명칭도 윗부분을 머리 , 중간을 허리 , 아래를 꽁수라 부른다 . 머리 옆 양 귀와 배 , 꽁수를 이어 목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