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와 내가 그리는 지도 '불안의 좌표'
들어가며 냉혹한 계절이다 . 겨울은 모든 생명이 움츠러드는 가혹한 시간이다 . 추위와 빈곤으로 생명이 위협받는 겨울철이 되면 동물은 더욱 치열하게 먹이 사냥을 한다 . 이 시대의 청년도 그렇다 . 청년기는 낭만을 즐기는 시간에서 또 다른 시련을 견디는 시간으로 바뀌었다 . 무한경쟁의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그들은 분주히 아르바이트하고 스펙을 쌓는다 . 청년은 겨울처럼 척박하고 고단하며 불안하다 . 전시장 전경 1. 프로젝트팀 ‘ 세모아 ’ 의 기획 전시 < 불안의 좌표 > 는 청년의 불안을 말하고 있다 . 2016 년 12 월부터 약 14 개월간 꾸준히 청년 문제를 조사하고 스터디하여 전시로 구체화하였다 . 12 명의 팀원 모두가 경성대학교 글로컬문화학부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년 스스로 삶을 관찰하고 그들의 미시사 microhistory 를 기록했다는 지점이 흥미로웠다 . 특히 전시는 청년부터 중년까지 다양한 경험치를 지닌 작가들이 함께하고 있었다 . 그렇다면 이들은 왜 불안을 말하고 있는가 ? 전시 초입에 아카이브 섹션에서 의식의 흐름을 따라가 본다 . 여기에는 주제 및 기획 , 리서치 자료 , 여러 청년의 이야기가 놓여 있다 . 사진과 참고서적 , 회의록 외에 ‘ 불안을 이야기하다 ’, ‘ 청년에게 불안을 묻다 ’ 등 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접할 수 있었다 . 20 대부터 30 대의 학생 , 취준생 , 아르바이트생 , 직장인까지 인터뷰를 파일링하고 있었으나 , 정보는 날 것 그대로였다 . 기획자의 관점으로 편집되지 않은 아카이브는 명확한 포인트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 그들의 이야기 속에는 청춘 , 꿈 , 도전 , N 포세대 , 청년실신 , 자기계발서 , 스펙 등 청년의 실상을 드러내는 언어들이 등장하고 있었다 . 그 중 ‘ 착한 청년 ’, ‘ 나쁜 청년 ’ 이라는 표현이 눈길을 끈다 . 청년을 향하는 수사는 대부분 사회적 요구이거나 외부에서 규정한 모습들이다 . 여기에 부합하지 못할 때 그들은 자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