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019의 게시물 표시

중간계로 사유하는 ‘축대’ 그리고 ‘양치식물’에 대하여

중간계로 사유하는 ‘축대’  그리고 ‘양치식물’에 대하여 글. 실험실 씨(박미라, 창파) 그렇다, 섬의 얼굴, 소리, 냄새를 이루는 풀과 동물, 산의 지층, 먼지 낀 황토색에서 보랏빛이 도는 갈색에 이르는 갖가지 종류의 흙, 넓은 주석 층, 이 모든 것들을 그냥 보아 넘길 것이 아니다. 무엇보다 그 이름들을 알아야 한다. 사방의 땅에는 그곳에서만 적용되는 독특한 법칙에 따라 동식물이 공생하고 있지 않은가? 또한 모든 장소의 이름은 식물의 세계(Flora)와 동물의 세계(Fauna)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조우하게 되는 암호가 아닐까? _ 발터 벤야민 ‘햇빛 속에서’ <일방통행로>  우리는 종종 자연의 존재를 잊곤 한다. 정확히는 도시 공간에서 생존하는 작은 식물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사람이 알고 있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자연은 우리의 도시를 공유하고 있으며 도시에 공존한다. 이번 식생리서치는 봉산마을이라는 도시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식물 개체와 종을 파악하는 조사로서 학문적 깊이보다는 기본적인 생태 지식 정보를 토대로 식생 [1] 의 동정 [2] 을 살피었다. 우선적으로 마을에 자생하는 식물을 관찰하고 그들의 점유 공간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를 관찰자의 주관적인 관점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o 공간 요소 대상 지역은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위치한 봉산마을이다. 조사 기간은 2019년 1월 28일부터 2월 26일까지 비정기적으로 실시하였다. 봉산마을은 봉래언덕길부터 사택길, 외나무길, 나팔꽃길, 산유화길, 동백꽃길, 찬새미길을 포함한다. 지리적으로는 부산항대교를 사이에 두고 북항 재개발 지역, 동구 초량동, 중구 영주동, 남구 감만동 등을 마주하고 있다. 마을의 아래 지역인 평지에는 1937년도에 건립한 한진중공업(주) 영도조선소가 위치하며,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수리조선소로 이 마을의 발전에 미친 상호적 관계를 짐작해볼 수 있다(도판 1, 2). 마을의 지형은 대부분이 경사면으로 이뤄져 있다. 가로로는 골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