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의 게시물 표시

미약하고 불완전하여 모순덩어리인 감각_ 김기석, 《기능적 인간》, 3F, 2019.11.30.-12.12

  미약하고 불완전하여 모순덩어리인 감각 김기석 , 《 기능적 인간 》 , 3F, 2019.11.30.-12.12 글. 창 파 ( 실험실 씨 아트디렉터 )   1. 예컨대 감각은 이러하다 . 신체 바깥에서 일어나는 정보를 받아들이는 체계이다 . 빛 , 소리 , 크기 , 거리 , 높이 , 형태 , 진동 , 접촉 , 움직임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변환한 뒤 , 그 신호를 뇌로 전달한다 . 감각은 지각의 토대이자 ‘ 나 ’ 를 제외한 외부를 판단하는 수단이며 , 정보를 전달하는 메신저이자 통로인 것이다 .   예컨대 감각은 이러하다 . 버스 옆좌석에 앉은 이에게서 오이 향이 나자 , 중학교 시절에 유행하던 오이 향 무스가 생각이 나고 , 그것을 발라 가지런히 머리를 빗어넘긴 한 아이가 떠올랐다 . 후각이 전한 정보는 저 먼 망각의 시간으로부터 희미하고 미세한 조각 하나를 소환하였다 . 시공간을 압축하고 관통한 신호는 실제로 상상이 불가능한 정도로 도약하여 새로운 전개를 펼쳐낸다 .   2. 김기석은 이미 알고 있었다 . 감각이란 도미노 칩처럼 하나의 독립된 형태로 존립하지 못한다는 것을 . 한 개의 칩이 쓰러지면 연쇄적으로 순식간에 에너지는 이동하고 , 모든 칩으로 운동이 전이되는 것처럼 말이다 . 그럼에도 굳이 그는 감각을 분절하고 , 기계로 치환하였다 . 시각과 청각과 후각과 촉각을 나누고 개체로서 독립성을 부여한 뒤 《 기능적 인간 》 이라는 제목을 달아 두었다 .   사실 , 《 기능적 인간 》 에 대한 그의 관심은 <Essence>(2015), <Watch Game>(2018) 과 같은 구획된 공간 안에서 움직이고 마주치고 멈추고 다시 이동하는 사람들 , 화면에 공을 던져 반응하는 영상처럼 상호 작용하는 관계성에 몰두하는 시기부터 이어져 왔다 . 주어진 조건 안에서 연결되고 작용하고 매개하는 방식은 《 기능적 인간 》 에서 감각 - 신체 , 본질 - 기능 , 개인 - 사회로 그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축대 그리고 양치식물, 《다리너머영도》 매거진 1호, 2019

이미지
 

실험실 씨, 《프랙탈》, 부산 영도구 봉산마을, 2019.6.15.-6.16

이미지
 

중간계로 사유하는 ‘축대’ 그리고 ‘양치식물’에 대하여

중간계로 사유하는 ‘축대’  그리고 ‘양치식물’에 대하여 글. 실험실 씨(박미라, 창파) 그렇다, 섬의 얼굴, 소리, 냄새를 이루는 풀과 동물, 산의 지층, 먼지 낀 황토색에서 보랏빛이 도는 갈색에 이르는 갖가지 종류의 흙, 넓은 주석 층, 이 모든 것들을 그냥 보아 넘길 것이 아니다. 무엇보다 그 이름들을 알아야 한다. 사방의 땅에는 그곳에서만 적용되는 독특한 법칙에 따라 동식물이 공생하고 있지 않은가? 또한 모든 장소의 이름은 식물의 세계(Flora)와 동물의 세계(Fauna)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조우하게 되는 암호가 아닐까? _ 발터 벤야민 ‘햇빛 속에서’ <일방통행로>  우리는 종종 자연의 존재를 잊곤 한다. 정확히는 도시 공간에서 생존하는 작은 식물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사람이 알고 있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자연은 우리의 도시를 공유하고 있으며 도시에 공존한다. 이번 식생리서치는 봉산마을이라는 도시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식물 개체와 종을 파악하는 조사로서 학문적 깊이보다는 기본적인 생태 지식 정보를 토대로 식생 [1] 의 동정 [2] 을 살피었다. 우선적으로 마을에 자생하는 식물을 관찰하고 그들의 점유 공간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를 관찰자의 주관적인 관점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o 공간 요소 대상 지역은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위치한 봉산마을이다. 조사 기간은 2019년 1월 28일부터 2월 26일까지 비정기적으로 실시하였다. 봉산마을은 봉래언덕길부터 사택길, 외나무길, 나팔꽃길, 산유화길, 동백꽃길, 찬새미길을 포함한다. 지리적으로는 부산항대교를 사이에 두고 북항 재개발 지역, 동구 초량동, 중구 영주동, 남구 감만동 등을 마주하고 있다. 마을의 아래 지역인 평지에는 1937년도에 건립한 한진중공업(주) 영도조선소가 위치하며,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수리조선소로 이 마을의 발전에 미친 상호적 관계를 짐작해볼 수 있다(도판 1, 2). 마을의 지형은 대부분이 경사면으로 이뤄져 있다. 가로로는 골목이, 세로로는 계단